ログイン
言語:

WEKO3

  • トップ
  • ランキング
To
lat lon distance
To

Field does not validate



インデックスリンク

インデックスツリー

メールアドレスを入力してください。

WEKO

One fine body…

WEKO

One fine body…

アイテム

  1. 学習院大学
  2. 文学部
  3. 学習院大学人文科学論集
  4. (30)

朝鮮初期雲山図の図様

http://hdl.handle.net/10959/00005463
http://hdl.handle.net/10959/00005463
7b835555-8310-42f6-9823-7defd5909818
名前 / ファイル ライセンス アクション
jinbunkagaku_30_1_35.pdf jinbunkagaku_30_1_35.pdf (1.4 MB)
Item type 紀要論文 / Departmental Bulletin Paper(1)
公開日 2022-07-05
タイトル
タイトル 朝鮮初期雲山図の図様
言語 ja
タイトル
タイトル チョウセン ショキ ウンザンズ ノ ズヨウ
言語 ja-Kana
タイトル
タイトル 朝鮮初期雲山圖의 畫風
言語 zh-tw
言語
言語 jpn
キーワード
主題Scheme Other
主題 雲山図
キーワード
主題Scheme Other
主題 青山白雲図
キーワード
主題Scheme Other
主題 朝鮮初期山水画
資源タイプ
資源タイプ識別子 http://purl.org/coar/resource_type/c_6501
資源タイプ departmental bulletin paper
著者 姜, 政模

× 姜, 政模

WEKO 47966

ja 姜, 政模

Search repository
Kang, Jungmo

× Kang, Jungmo

WEKO 47967

en Kang, Jungmo

Search repository
抄録
内容記述タイプ Abstract
内容記述 朝鮮初期雲山圖(靑山白雲圖)는 주로 宋代米氏의 雲林에 巨山을 折衷한 元代高克恭의 〈雲橫秀嶺圖〉와 같은 江南系雲山圖의 영향을 중심으로연구되어 왔다.그러나 한편으로 元末에 그려진 方從義의 〈雲山圖卷〉과 같은 華北系의 작품도 雲山圖라고 불리는데,本稿에서는 양식에 관계없이 이작품들이 雲山이라 불리는 이유가 米氏의 雲林이라는 모티프를 共有하기 때문이라 보았고 朝鮮初期에도 米氏의 雲林을 折衷한 다양한 畫風의 雲山圖가그려졌다는 것에 대해 考察했다.
大和文華館 소장 〈雲山圖〉 6점은 高克恭系의 구도를 바탕으로 하면서도面的인 표현에 중점을 둔 高克恭의 〈雲橫秀嶺圖〉에 비해 線的인 樓閣이나樹枝法이 더해져 있는 점에서 元末雲山圖의 影響이 두드러지며 山容表現에는 元末盛懋의 간략화한 披麻皴과 胡椒點,그리고 元末의 前浙派的인 畫風 등을 折衷해서 재해석한 작품이라 보았다.
南禪寺 소장 傳高然暉筆〈 雲山圖〉와〈 雪山圖〉는 그 山勢 표현이 元人筆〈靑山白雲圖〉(台北故宮博物院)에 보이는 元末의 前浙派的인 거친 筆致와유사하며,〈雲山圖〉의 높이 솟은 巨山과 雲林의 조합 등으로 볼 때 元末雲山圖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그리고 朝鮮初期에는 계절의 변화를 담은 山水畫가 유행하는데,특히 15세기 후반의 成宗期에 雲山圖와 雪山圖를함께 감상했다는 기록이 자주 보이는 점과 두 작품이 朝鮮初期山水畫에 흔히 보이는 對稱構圖를 취한 점에서 前浙派山水의 영향을 받은 15세기 후반의 朝鮮初期작품으로 보았다.
九州國立博物館 소장〈 瀟湘八景圖〉의 煙寺暮鐘은 江南山水로 분류되는高克恭系의 화풍을 계승하고 있으나 細部描寫에는 15세기 후반부터 보이는朝鮮初期 특유의 短線點皴의 初期的인 특징이 보인다.그리고 이는 八景 중의 華北山水의 영향이 두드러진 작품에서도 사용되는데 이러한 점에서 短線點皴은 華北系뿐만 아니라 江南系山水에도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또한이 그림은 煙寺暮鐘의 주요한 모티프인 樓閣이나 僧侶 등의 線的인 표현이거의 보이지 않는 것이 특이점인데,이것은 元末의 雲山圖보다는 古式인 高克恭의〈 雲橫秀嶺圖〉에 가까우며,그리고 여기에 江南山水의 廣闊한 水面表現이 折衷되어 있는 雲山圖로 이해된다.
九州國立博物館 소장〈 瀟湘八景圖〉의 洞庭秋月은 華北系의 山容에 江南系의 드넓은 水面,거기에 雲林과 屋舍 등 雲山의 모티프를 折衷한 작품인데元末 張羽의“ 唐子華雲山歌” 등에서 이러한 折衷畫風을 읊고 있고,方從義의〈 雲山圖卷〉이 이러한 折衷樣式을 보이는 점에서 朝鮮初期에도 이러한 작품이 雲山圖라 불렸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논했다.
傳玉澗筆〈 雲山圖〉는 玉澗의 작품으로 전하던 것이나 近年에 朝鮮時代의작품으로 수정되었으며 本稿에서는 山稜의 點描나 山面의 線描 등이 短線點皴의 초기적인 특징이 보여 조선시대의 15세기말경의 작품이라 보았다.
이상과 같이 朝鮮初期雲山圖는 다양한 화풍의 절충적인 경향이 보인다.이러한 경향은 元代復古主義에 의해 탄생한 折衷畫風인 高克恭系雲山에서 비롯한 것으로 그 思潮가 朝鮮初期畫壇에도 영향을 주어 다양하게 折衷되고 재해석된 朝鮮初期 특유의 雲山圖가 그려지게 된 것이다.
書誌情報 ja : 学習院大学人文科学論集
en : Gakushuin University studies in humanities

号 30, p. 1-35, 発行日 2021-10-30
出版者
出版者 学習院大学大学院人文科学研究科
言語 ja
ISSN
収録物識別子タイプ PISSN
収録物識別子 09190791
書誌レコードID
収録物識別子タイプ NCID
収録物識別子 AN10398283
フォーマット
内容記述タイプ Other
内容記述 application/pdf
著者版フラグ
出版タイプ VoR
出版タイプResource http://purl.org/coar/version/c_970fb48d4fbd8a85
戻る
0
views
See details
Views

Versions

Ver.1 2023-05-15 14:43:20.537949
Show All versions

Share

Mendeley Twitter Facebook Print Addthis

Cite as

エクスポート

OAI-PMH
  • OAI-PMH JPCOAR 2.0
  • OAI-PMH JPCOAR 1.0
  • OAI-PMH DublinCore
  • OAI-PMH DDI
Other Formats
  • JSON
  • BIBTEX

Confirm


Powered by WEKO3


Powered by WEKO3